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💼 “연봉보다 워라밸? 이젠 옛말!”

by james-na 2025. 4. 14.

연봉보다 워라밸
연봉보다 워라밸

 

“연봉 3천에 워라밸 vs 연봉 6천에 야근 가능성 있음”

이제는 선택이 아니다.
‘어떻게 살 것인가’의 문제다.

2025년 MZ는 더 이상 “돈이 전부야”라고 말하지 않는다.
하지만 “돈이 없으면 내가 원하는 삶을 지키기 어렵다”는 것쯤은 차갑게 인지하고 있다.

오늘은 MZ 세대의 연봉 선택 기준을
실제 인터뷰 형식으로 풀어본다.
누구나 고민하지만, 말은 잘 안 꺼내는 주제.
“지금 내 연봉, 이대로 괜찮은가?”

연봉 1억 찍은 대기업 직장인의 현실적인 하루 (ft. 워라밸의 진실)


🎙 인터뷰 ① “연봉 5천은 돼야, 혼자 설 수 있어요”

 

박채은(29세 / UX 디자이너 / 서울 거주 / 자취 4년 차)

“월세가 90이 넘어요. 거기에 관리비, 교통비, 식비, 적금, 보험, 넷플릭스, 커피…
이런 거 빼면 진짜 내 삶이 없어지거든요.

친구들이랑 이런 얘기 자주 해요.
‘연봉 4천 중반이면 부모님 도움 없이 혼자 살 수 있을까?’
솔직히 말하면… 연 5천은 돼야 그나마 숨이 트여요.
그 밑으론 현실적으로 자립이 불가능하다고 느껴요.”

💡 Point: ‘경제적 자립 가능선’으로서의 연봉을 바라보는 관점
💬 “워라밸? 월세 낼 돈 없으면 밸도 없다니까요.”


🎙 인터뷰 ② “워라밸 좋아하다가, 월급 보고 현실 왔죠”

김도윤(32세 / 제조업 생산기술직 / 경기 시흥)

“첫 직장은 워라밸만 보고 골랐어요. 칼퇴하고, 정시출근하고, 직장 동료들도 착했고.
근데 연봉이 3,400이었는데, 진짜 아무것도 안 남더라고요.
적금은 꿈도 못 꾸고, 월급날마다 눈치 보며 버티는 느낌이었어요.

그래서 결국 교대근무 있는 대기업으로 이직했습니다.
야간도 돌고 주말도 일하지만, 월급이 확실히 달라요.
지금은 실수령으로 470쯤 나오는데, 그 덕에 신용카드도 안 밀리고, 내 집도 꿈꿔요.”

💡 Point: ‘워라밸 vs 경제력’ 사이에서 결국 ‘자산 형성 가능성’을 택한 케이스
💬 “연봉 오르고 나니까, 오히려 스트레스도 줄었어요. 미래가 보이니까.”

연봉 1억 찍은 대기업 직장인의 현실적인 하루 (ft. 워라밸의 진실)


🎙 인터뷰 ③ “돈이 다는 아니지만, 최소선은 있어야죠”

 

이윤서(27세 / 비영리 기획자 / 대전 / 비정규직 → 정규직 전환 예정)

“비영리에서 일하다 보면 돈보다 중요한 게 많다는 걸 매일 느껴요.
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니까요.
하지만… 가끔은 ‘나 이러다 평생 월 250으로 사는 건가’ 싶을 때가 있어요.

자기계발, 건강, 인간관계까지 다 돈이 들더라고요.
그래서 요즘은 ‘사명감’ 하나로 버티기보다,
연봉이 너무 낮으면 결국 내가 하고 싶은 것도 못 하게 된다는 걸 실감하고 있어요.”

💡 Point: ‘일의 의미’와 ‘경제적 기반’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시도
💬 “좋은 일을 하려면 나부터 무너지지 않아야 하니까요.”

연봉 VS 워라밸, 대기업 직장인들의 현실적인 선택은?


🧠 그들의 연봉 선택 기준은 이렇게 다르다


📌 공통된 한 가지

 

“연봉이 전부는 아니지만,
연봉이 없이는 아무것도 지킬 수 없다.”

MZ세대는 이제 ‘가치 있는 삶’을 선택할 때도 돈을 고려한다.
과거처럼 감성만 앞세우지도 않고,
기성세대처럼 무작정 돈만 좇지도 않는다.

현실적이고, 계산적이며, 동시에 자기다운 선택을 원한다.


✨ 마무리 한 줄

“내가 원하는 삶의 조건 중 하나가 연봉이다.”
MZ의 연봉 선택 기준은 단순한 욕심이 아니라,
자립, 성장, 자유, 안전이라는 생존 조건이다.

연봉 VS 워라밸, 대기업 직장인들의 현실적인 선택은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