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2025년 10월 14일 이후,
윈도우10은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보안 지원이 종료됩니다.
“업데이트가 안 된다면 그냥 위험한 거 아니야?”라고 걱정하실 수 있지만,
사실 방법은 있습니다.
💡 윈도우10은 2028년까지 ‘안전하게’ 쓸 수 있습니다.
단, 지금부터 보안 연장 설정을 제대로 해두는 게 핵심이에요.
오늘은 실제 사용자 기준으로 보안 연장 실전 설정 3단계를 정리해드릴게요.
🧩 ① 마이크로소프트 ESU 신청 또는 자동 업데이트 유지
가장 공식적이고 안정적인 방법은 ESU(Extended Security Update) 프로그램이에요.
기업용 서비스로 알려져 있지만,
2025년부터는 개인 사용자도 구매 및 등록이 가능해집니다.
✅ ESU란?
- ‘확장 보안 업데이트’의 약자
- 윈도우10 종료 후 최대 3년간 보안패치 연장 제공
- 개인도 Microsoft Store 또는 파트너사(Dell, Lenovo 등) 통해 구매 가능
📅 예상 지원 일정
- 1차: 2025.10 ~ 2026.10
- 2차: 2026.10 ~ 2027.10
- 3차: 2027.10 ~ 2028.10
💰 가격: 약 6만~8만원/년 (국가별 상이)
👉 등록 절차 요약
1️⃣ Microsoft 계정 로그인
2️⃣ 공식 스토어 → ‘Windows 10 ESU’ 검색
3️⃣ 결제 후 제품키 입력 (설정 > 시스템 > 활성화)
4️⃣ 자동으로 연장 업데이트 적용
💡 Tip:
윈도우10 Home 버전은 ESU 적용이 제한됩니다.
“설정 → 시스템 → 정보”에서 버전 확인 후,
Pro로 업그레이드(약 15,000원) 해야 등록 가능해요.
🛠️ ② 보안 업데이트 우회 설정 (무료 대안법)
ESU 등록이 부담스럽다면,
**보안 업데이트 서버를 유지하는 ‘우회 설정법’**으로도 연장이 가능합니다.
이 방법은 MS 업데이트 채널을 Windows 11 Enterprise Preview로 전환하여,
일부 동일한 보안 패치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게 만드는 방식이에요.
⚙️ 설정 방법 요약 (일반 사용자용)
1️⃣ 시작 → 실행 (Win+R) → regedit 입력
2️⃣ 경로 이동:
HKEY_LOCAL_MACHINE\SOFTWARE\Microsoft\WindowsSelfHost\Applicability
3️⃣ 새 문자열 추가 → 이름: BranchName, 값: ReleasePreview
4️⃣ 다시 추가 → 이름: Ring, 값: External
5️⃣ 저장 후 재부팅 🔁
👉 결과:
- 최신 보안패치 일부 자동 수신
- 일반 사용자도 “윈도우11 사전보안 라인” 업데이트 받음
- 비공식적이지만 합법적인 범위 내 유지 가능
💡 주의:
이 방식은 완벽히 동일한 업데이트는 아니며,
일부 드라이버·기능 패치는 제공되지 않습니다.
단, 보안 위험 방지에는 충분한 수준이에요.
🧱 ③ 보안 소프트웨어 3중 방어체계 구축
윈도우10의 기본 보안인 ‘Windows Defender’는
지원 종료 후 탐지율이 급감합니다.
따라서, 백신 + 방화벽 + 브라우저 보안의 3중 방어가 필요해요.
✅ 추천 조합 예시
| 구분 | 프로그램 | 특징 |
| 백신 | Bitdefender, AhnLab V3, Malwarebytes | 실시간 탐지율 98% 이상 |
| 방화벽 | GlassWire, ZoneAlarm | 비정상 트래픽 차단 |
| 브라우저 | Microsoft Edge 보안 모드 / Brave | 피싱·추적 차단 |
💡 보안 팁:
- ‘Windows Defender’는 비활성화하지 말고 보조 백신으로 병행 사용
- V3와 Malwarebytes의 실시간 감시 기능을 중복 켜면, 랜섬웨어 방어력 2배 상승
💾 ④ 자동 백업·복구 시스템 설정 (문제 대비용)
아무리 보안을 연장해도 100%는 없습니다.
그래서 백업은 최후의 방어선이에요.
📋 설정 방법
1️⃣ 제어판 > 파일 히스토리 → 외장하드 연결 → 자동 백업 활성화
2️⃣ 복구 > 복원 지점 생성 → 시스템 변경 전 복구 포인트 저장
3️⃣ 클라우드 백업 → OneDrive or Google Drive 동기화
💡 자동화 팁:
- ‘파일 히스토리’ 백업 주기: 1일
- 클라우드 동기화 주기: 실시간
- 중요 파일만 별도로 ‘NAS 저장’ 추천
🔧 ⑤ 네트워크 보안 강화 설정
윈도우10은 구버전 SMB, RDP(원격 연결) 취약점이 많습니다.
이를 수동 설정으로 막아두면, 해킹 위험을 거의 없앨 수 있어요.
✅ 보안 설정 3단계 요약
1️⃣ Windows 기능 켜기/끄기 → SMB 1.0 비활성화
2️⃣ 제어판 > 네트워크 공유 설정 > 암호 보호 공유 ON
3️⃣ 서비스 → Remote Desktop 비활성화
💡 추가 팁:
- 공용 와이파이 접속 시 “개인 네트워크” 모드로 변경
- VPN(예: ProtonVPN, NordVPN) 사용 시 데이터 유출 최소화
🧠 전문가가 추천하는 ‘윈도우10 생존 전략’
🔹 보안 업데이트: ESU or 우회설정
🔹 바이러스 방어: 백신+방화벽 병행
🔹 데이터 보호: 주기적 백업
🔹 네트워크 안전: VPN + 공유차단
이 4가지만 실천하면
윈도우10은 2028년까지도 충분히 **“실사용 가능한 OS”**로 유지됩니다.
⚡ 정리표: 보안연장 실전 셋업 한눈에
| 구분 | 설정 내용 | 예상 소요 시간 |
| 1단계 | ESU 등록 or 우회설정 | 약 10~15분 |
| 2단계 | 백신·방화벽 설치 | 약 20분 |
| 3단계 | 백업·복구 설정 | 약 10분 |
| 4단계 | 네트워크 보안 설정 | 약 5분 |
⏱ 총 소요 시간: 약 45분이면 완벽히 구성 가능!
🔒 마무리
윈도우10은 이제 “지원이 끝난 OS”가 아니라,
준비된 사람에게만 살아남는 OS예요.
ESU 등록이든, 우회설정이든, 백업 구축이든
지금 1시간만 투자하면 최소 3년간 안전한 사용이 가능합니다.
💡 아직 교체를 망설이는 분이라면,
이번 주말에 딱 30분만 투자해 ‘보안 연장 셋업’을 끝내보세요.
당신의 윈도우10은 아직, 완벽히 살아있습니다. 💪



